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허리디스크 수술, 언제 필요하고 어떻게 회복할까?

by 땡큐리치 2025. 9. 23.
반응형

1. 허리디스크 수술이 필요한 경우

일반적으로 허리디스크 환자의 90% 이상은 수술 없이 물리치료, 약물, 주사치료 등으로 호전됩니다. 하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 수술이 권장됩니다.

  • 보존적 치료(약, 물리치료 등)를 6주~3개월 이상 했음에도 호전이 없는 경우
  • 다리나 발의 근력이 점점 약해지고, 마비 증상이 진행되는 경우
  • 심한 통증으로 일상생활이 거의 불가능한 경우
  • 대소변 장애(신경이 심하게 눌려 발생) 같은 응급 상황

2. 허리디스크 수술 방법

대표적인 수술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• 미세현미경 디스크 제거술(Microdiscectomy)
    허리를 작은 절개 후 현미경을 이용해 탈출한 디스크 조각을 제거하는 방법. 회복이 빠르고 가장 흔히 시행됨.
  • 내시경 디스크 제거술(Endoscopic Discectomy)
    절개를 최소화하여 내시경으로 디스크를 제거하는 방법. 흉터가 작고 입원 기간이 짧음.
  • 척추 유합술(Fusion Surgery)
    디스크 손상이 심하거나 척추 불안정성이 있는 경우, 금속 나사나 케이지로 뼈를 고정하는 수술. 회복 기간이 길지만 재발 위험이 낮음.
  • 인공디스크 치환술(Artificial Disc Replacement)
    손상된 디스크를 제거하고 인공디스크로 대체하는 방법. 비교적 젊고 활동량 많은 환자에게 선택됨.

3. 회복 과정과 예후

  • 입원 기간: 내시경/현미경 수술은 2~7일 정도, 유합술은 1~2주 정도 필요.
  • 일상 복귀: 가벼운 생활은 2~3주, 사무직 복귀는 4~6주, 육체노동은 2~3개월 이상 소요될 수 있음.
  • 재활 치료: 수술 후 허리 근육 강화 운동이 필수. 재활을 소홀히 하면 재발 위험이 높아짐.
  • 재발률: 약 5~15% 정도에서 같은 부위나 다른 부위에서 재발 가능.

4. 비용, 부작용, 주의사항

  • 비용: 건강보험 적용 여부, 수술 방법, 병원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200만~700만 원대(본인 부담 기준).
  • 부작용: 감염, 출혈, 신경 손상, 재발 가능성. 특히 척추 유합술은 인접 분절 퇴행(옆 디스크 손상) 위험이 있음.
  • 주의사항: 수술 후에도 올바른 생활습관(바른 자세, 무거운 물건 피하기, 규칙적 운동)이 중요.

👉 정리하자면, 허리디스크 수술은 꼭 필요한 경우에만 시행하며, 수술 방법에 따라 회복 속도와 예후가 다릅니다. 환자의 상태, 연령, 생활습관에 맞춘 선택이 중요하고, 수술 후 관리가 결과를 크게 좌우합니다.

반응형